|
|
|
리눅스팁 Go Unix Power Tools Online Book
Go Bash Guide
|
|
Read No. 41 article |
2001-08-23 04:38:55 |
|
|
|
|
NickName |
풀비누 |
Subject |
IDE방식 CD Writer를 사용 |
|
|
[ CD rewritable ]
( 매뉴얼이 없으니 하드웨어 정보를 못 찾겠어요. T_T )
리눅스에서 CD 레코딩 알짜 리눅스 배포판을 만들면서 상당히 많이 해왔기 때문에
상당히 잘 지원된다는 것을 익히 알고 있었습니다. CD 를 구우면서 (한국에서만
굽는다라고 하는 줄 알았더니 외국에서도 Burning 이나 Roast 등의 단어를
사용하더군요. :) MP3 도 틀어보고 넷스케이프도 실행해 보고 많은 짓을 해봤지만
별다른 이상이 없었기 때문에 항상 리눅스에서 CD 를 구워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테스트 제품으로 온 IDE CD-RW 에 대해서는 당혹감을 느낄 수 밖에
없었습니다. CD-Writing 하우투를 아무리 봐도 CD-RW 에 대한 언급이 없고 리눅스
동호회 게시판에 CD-RW 를 사용해 보았다는 글도 없었기 때문에 사실 거의 테스트를
포기하고 고이 고이 모셔두고 있었습니다.
그것의 저희의 큰 실수였습니다. 열심히 찾아 보지도 않고 안되나보다라고
지례짐작을 한 덕분에 크게 뒷통수를 맞았습니다. cdrecord
[ http://www.fokus.gmd.de/
research/cc/glone/employees/joerg.schilling/private/cdrecord.html ]
라는 CD 레코딩 프로그램에 딸려 오는 문서들을 살펴 보는 중에 README.cdrw 라는
이름의 문서가 있는 것을 봤습니다. 어디서 주워들은 것처럼 그냥 하드디스크에
파일을 복사하고 지우고 하는 식으로는 되지 않겠지만 보통의 CD-R 쓰듯이 CD 에
기록을 할 수 있고 또한 지울 수도 있다는 내용이 들어 있었습니다. (지금 반성하고
있습니다.)
부랴 부랴 RICOH MP6200A IDE ATAPI CD-RW 를 시스템에 붙이고 테스트를
시작하였습니다. CD-RW 를 시스템에 붙이고 부팅을 하니 커널에서 일반적인 IDE
CD-ROM 으로 인식을 하여서 무리 없이 작동이 되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문제를 만났습니다. 현재 리눅스에 있는 CD 레코딩 프로그램들은
모두 스카시만이 지원되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IDE 에 있는 CD-RW 를 이용할
방법이 없더군요. 역시 답은 문서에 있었습니다.
'SCSI emulation support' 를 이용하면 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 SCSI emulation 이란? ]------------------------------------------------+
IDE ATAPI 장치를 스카시 장치인 것 처럼 해주는 기능입니다. ATAPI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장치중 쓰기를 해야 하는 (ATAPI PD-CD 나 ATAPI IDE
CD-RW 같은) 장치의 경우에 필요하다고 합니다. (기본 ATAPI 드라이버는
쓰기를 지원하지 않는가 봅니다. 뒤져봐도 그에 대한 자세한 문서를 찾을
수 없어서 이렇게 무책임한 글을 약간 썼습니다.)
+--------------------------------------------------------------------------+
스카시 에뮬레이션 기능은 안정 버젼 커널 2.0.35 부터 정식으로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알짜 리눅스(레드햇) 5.1 이상을 사용하신다면 별다른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다만 현재 사용되는 배포판들의 커널에 이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능을 추가한 후 다시 컴파일을 해주어야 한다는 약간의 불편함이
있습니다.
레드햇을 기준으로 설명드린다면 스카시 에뮬레이션 이외에 CD 레코딩을 위한
다른 기능들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커널 소스가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 후
(/usr/src/linux 에 위치합니다.)
make menuconfig (혹은 make xconfig) 명령으로 커널 설정 매뉴를 부르신 후
'Floppy, IDE, and other block devices' 메뉴에서 'SCSI emulation support'를
켜신 후 커널을 다시 컴파일 하시면 됩니다. (모듈은 굳이 컴파일할 필요가
없습니다.)
[ 그림 ] CDRW-01.gif, CDRW-02.gif
+--[ 간단한 커널 컴파일 ]--------------------------------------------------+
make mrproper
:커널 소스를 초기 상태로 바꾸는 것입니다. 굳이 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니
하지 마시고 이전의 설정을 유지하는 것이 더 좋을 것입니다.)
make menuconfig (xconfig, menuconfig)
:커널 설정을 하기 위함입니다. menuconfig 은 메뉴 형식의 설정판이 뜨고
xconfig 은 X 화면에 GUI 로 설정판이 뜹니다. config 은 정말 썰렁한 Y,N
모드입니다. 비추천입니다.
make dep clean zImage
:의존성 검사와 잡다한 파일들의 청소 그리고 커널 이미지의 생성입니다.
새로이 만들어지는 커널 이미지는 /usr/src/linux/arch/i386/boot 디렉토리에
zImage 라는 이름으로 생성됩니다. 이 파일을 / 나 /boot 정도에 적당한
이름으로 복사하시고 /etc/lilo.conf 의 내용을 참고하여 수정하신 후에
/sbin/lilo 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make modules modules_install
:모듈 컴파일 그리고 설치 부분입니다. 모듈은 /lib/modules/커널버젼
디렉토리에 설치됩니다.
+--------------------------------------------------------------------------+
ATAPI IDE CD-R(W) 를 사용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커널의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이 중에 무언가 빠지지 않았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Floppy, IDE and other block devices
--+
+- IDE/ATAPI CD-ROM support
+- SCSI emulation support
SCSI Support
--+
+- SCSI support
+- SCSI CD-ROM support
+- SCSI generic support
마지막으로 한가지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etc/lilo.conf' 파일에
append="hd?=ide-scsi" 라는 라인을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추가할 곳은 스카시
에뮬레이션을 집어 넣은 이미지를 사용하는 부분 아래입니다.
hd? 부분은 CD-RW 가 IDE 몇번째 장치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 IDE 장치 | 장치명 |
+----------+--------+--------+
| Primary | Master | hda |
| +--------+--------+
| | Slave | hdb |
+----------+--------+--------+
| Secondry | Master | hdc |
| +--------+--------+
| | Slave | hdd |
+----------+--------+--------+
[ 그림 ] CDRW-03.gif
모든 것이 제대로 되었다면 부팅시에 아래와 비슷한 화면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혹시라도 지나치셨다면 dmesg 명령으로 다시 한번 보실 수 있습니다. :)
hdc: RICOH MP6200A, ATAPI drive - enabling SCSI emulation
scsi0 : SCSI host adapter emulation for IDE ATAPI devices
scsi : 1 host.
Vendor: RICOH Model: MP6200A Rev: 2.20
Type: CD-ROM ANSI SCSI revision: 02
Detected scsi CD-ROM sr0 at scsi0, channel 0, id 0, lun 0
scsi : detected 1 SCSI cdrom total.
현재 CD-RW 에 레코딩이 가능한 프로그램은 제가 알고 있는 한도내에서는
'cdrecord' 밖에 없습니다. 안정 버젼의 경우 1.6.1 final 까지 나와 있는
상태이며 개발 버젼은 1.8a15 까지 나와 있습니다. 안정 버젼이나 개발 버젼 모두
CD-RW 에 레코딩 그리고 삭제를 지원합니다.
cdrecord FTP 사이트
[ ftp://ftp.fokus.gmd.de/pub/unix/cdrecord/cdrecord-1.6.1.tar.gz ] 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개발 버젼의 경우 알짜 리눅스 FTP 서버
[ ftp://linux.sarang.net
/pub/alzza-5.2/i386/RedHat/RPMS/cdrecord-1.8a14-2.i386.rpm ] 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CD 레코딩의 경우는 일반적인 CD 레코더를 사용하듯이 하면 됩니다. 전혀 틀린
점이 없습니다. mkisofs 를 이용해 CD 이미지를 생성 후 cdrecord 를 이용해
기록을 하시면 됩니다.
cdrecord -v dev=0,0 speed=4 test.img
-v 는 자세한 출력, dev 는 장치 지정입니다. 0,0 에서 앞의 0 이 스카시 ID 를
지정하는 것이고 뒤는 신경쓰실 것 없는 부분입니다. 스카시 ID 를 몇번을
사용하고 있는지 모르시겠다면 cdrecord -scanbus 명령으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스카시 장치들의 ID 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레코딩에 관한 것인 cdrecord 홈페이지나 CD-Writing 하우투
[ http://metalab.unc.edu/mdw/HOWTO/CD-Writing-HOWTO.html ] 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기록된 데이타를 지우는 것도 아주 간단합니다.
cdrecord -v dev=0,0 speed=4 -blank=[type]
이렇게 명령을 주시면 됩니다. type 에 대한 설명은 cdrecord -blank=help
명령으로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fast 로 지우는데 약 4분 정도의 시간이
걸렸으며 포맷?후에 다른 데이타를 써도 아무런 지장이 없었습니다.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장비 중 하나이기 때문에 많은 제품에 대해 테스트를
해볼 수 없었습니다. 제가 테스트한 제품은 'RICHO MP6200A' 와 '삼성 SCW-230'
이었으며 RICHO MP6200A 는 제대로 작동하였으나 SCW-230 모델의 경우 안정 버젼
커널에서 인식을 하지 못하고 개발 버젼의 커널에서 겨우 인식을 하지만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여 큰 아쉬움을 남겼습니다.
이 이외의 CD-R(W) 들에 대한 지원 여부는 유닉스에서의 CD 라이터 호환 목록
페이지 [ http://www.guug.de:8080/cgi-bin/winni/lsc.pl ] 에서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이 CD-RW 뿐만이 아니라 ATAPI IDE 방식의 CD-R 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
|
Page Loading [ 0.04 Sec ]
SQL Time [ 0 Sec ]
|
|
|